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꿀단지

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 쉽게 알아보자 : 주휴수당 지급조건, 계산법, 아르바이트 포함, 지급시기, 미지급 시 해결방안

by nurung.gee 2025. 2. 11.
반응형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한국에서는 주휴수당이라는 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일정 조건을 충족한 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추가적인 임금으로,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기준 주휴수당의 개념, 계산법, 지급 조건 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이란 1주 동안 소정 근로일수를 충족한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지급되는 하루치의 임금을 의미합니다. 이는 근로기준법 제55조에 의해 보장되며, 일정 조건을 충족할 경우 반드시 지급해야 합니다.

2.  주휴수당 지급 조건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1주 동안 소정근로일수를 개근할 것 (결근 없이 근무해야 함)
  • 1주 근무시간이 15시간 이상일 것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는 해당 없음)
  • 사업장이 5인 이상 사업장일 것 (단, 5인 미만 사업장도 개별적으로 지급하는 경우가 있음)

 

📌 주휴수당은 아르바이트, 계약직, 정규직 모두에게 적용됩니다.

3.  주휴수당 계산 방법

주휴수당은 일반적으로 1일치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지급됩니다.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휴수당 계산 공식
 주휴수당 = 1주간 근로한 평균 1일치 임금

 

예시 1: 시급제 근로자의 주휴수당 계산

시급 10,000원 / 주 5일 / 1일 8시간 근무한 경우:

  1. 주급 계산: 10,000원 × 8시간 × 5일 = 40만 원
  2. 1주 총 근무시간: 40시간
  3. 1시간당 통상임금: 40만 원 ÷ 40시간 = 10,000원
  4. 주휴수당: 10,000원 × 8시간 = 80,000원

예시 2: 일급제 근로자의 주휴수당 계산

일급 80,000원 / 주 6일 근무한 경우:

  1. 주급 계산: 80,000원 × 6일 = 48만 원
  2. 1일 평균 임금: 48만 원 ÷ 6일 = 80,000원
  3. 주휴수당: 80,000원 × 1일 = 80,000원

📌 단,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에만 적용되며,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반응형

4.  주휴수당 지급 시기

  • 주휴수당은 일반적으로 급여 지급일에 포함되어 지급됩니다.
  •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면 임금체불로 간주될 수 있으며, 사업주는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5.  주휴수당 미지급 시 해결 방법

주휴수당을 지급받지 못한 경우, 근로자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사업주와 먼저 협의하여 주휴수당 지급 요청
  2.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1350)에 문의
  3. 고용노동부 노동청에 진정서 제출 (온라인 신고 가능)
  4. 법적 대응 (임금체불 소송 진행 가능)

📌 사업주가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최대 3년간 소급 청구할 수 있습니다.

 

6.  주휴수당 관련 FAQ

Q1. 아르바이트생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A. 네,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소정근로일을 개근했다면 받을 수 있습니다.

 

Q2. 주휴수당은 주말에도 포함되나요?

A. 주휴수당은 1주일 동안 개근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것으로, 특정 요일과 관계없이 발생합니다.

 

Q3. 사업장이 주휴수당을 주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고용노동부에 신고하면 법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7.  마무리

주휴수당은 근로자가 보장받아야 할 정당한 권리입니다.

2025년에도 변함없이 주휴수당 지급 기준이 유지될 예정이므로,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 정확한 계산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사업장에서 올바르게 주휴수당을 지급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정당한 권리를 보호받으세요!

반응형